<p></p><br /><br />지난 7월 28일 새벽 광주에서 차량 절도사건이 일어났습니다. CCTV도, 목격자도 없습니다. <br><br>차량에선 현금 20만 원과 30만 원이 넘는 명품 선글라스가 사라졌습니다. 유일한 단서는 차량에 달려있던 블랙박스가 전부입니다.<br> <br>하지만 차량 바깥을 비추는 블랙박스엔 누군가 다가오는 모습만 어렴풋이 보일 뿐, 정확한 인상착의 등은 전혀 파악할 수 없었죠. <br><br>이대로 수사는 난항에 빠지는 걸까요? 그런데 경찰은 실낱 같은 단서 하나를 잡아냅니다. 바로 새까맣게 찍힌 블랙박스에 담긴 '목소리' 입니다. <br> <br>지금부터 범행 당시 블랙박스 보여드립니다. 소리에 집중해보시죠. <br><br>[절도범 대화] <br>"야 진짜 자연스럽게 땄다." <br> <br>"나와 봐" <br> <br>"오! 야 명품 찾았다. 이거 내거야. 딱 내 거야." <br> <br>"와 XXXX XX 깔끔하게 차 정리해 놨네" <br> <br>"이거 엄마 드려야겠다." <br> <br>"XXXX" <br> <br>"야 XX야, 이거 열어 봐" <br> <br>"뭐냐 이 XX 같은 건… " <br> <br>목소리를 분류해보면 범인은 3명. 경찰은 이 짧은 대화 중 특히 마지막 부분에 집중합니다. 다시 한 번 들어보시죠. <br><br>[절도범 대화] <br>"이거 엄마 드려야겠다." <br> <br>"XXXX" <br> <br>"야 XX야 이거 열어 봐"<br> <br>"뭐냐 이 XX 같은 건… " <br> <br>[절도범 대화 반복] <br>"야 XX야! 이거 열어 봐"<br> <br>"뭐냐 이 XX 같은 건… " <br><br>[홍석봉 / 광주 북부경찰서 강력 1팀장] <br>"나중에 (계속 듣다 보니) ○○라는 이름이 나오는 거예요. (전화해서) '녹취된 게 있는 데 들어 보고 네 목소리 맞는지 안 맞는지.'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니 실토를… " <br> <br>경찰에 붙잡힌 절도범은 20살 오모 군과 18살 김모 군, 박모 군이었습니다. <br> <br>이 중 비슷한 범행을 저질러 이미 여러 번 경찰 조사를 받았던 전력이 있던 김모 군의 이름과 목소리, 연락처를 경찰이 기억해낸 게 결정적 단서가 된 겁니다. <br><br>경찰 조사 결과 이들은 1시간 간격을 두고 똑같은 차량을 상대로 두 차례나 범행을 저지르는 대범함을 보였습니다. <br> <br>새벽 4시엔 오군이 혼자, 1시간 뒤엔 세 사람이 함께 절도 행각을 벌인 거죠. <br><br>범행 이유, PC방에서 쓸 돈을 마련하기 위해서였습니다. 범행 대상은 어떻게 물색했을까요? <br> <br>[홍석봉 / 광주 북부경찰서 강력 1팀장] <br>"(시동이 꺼지면) 사이드미러가 원래 자동으로 접히잖아요? 접혀있지 않으면 무조건 (손잡이를) 잡아당기는 거예요." <br> <br>사이드미러가 접혀있지 않으면 차문이 열려있을 가능성이 높단 점을 이용해 범행을 저지른 겁니다. <br> <br>차량 운전자 분들도 이 점 주의하셔야 할 점인데요. 경찰은 세 사람을 특수절도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사건파일이었습니다.